해양생태부 1 페이지

본문 바로가기
사업분야

해양생태부

해양생태계조사

- 해양이용협희, 해양이용영향평가, 해양환경영향조사, 환경영향평가, 사후환경영향조사 등 해양생태계 분야 현장조사 · 분석 및 평가

- 해양생태계보호 · 보전방안 연구 및 해역내 인위적 개발로 인한 해양생태계 영향 평가 · 저감방안 연구

-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생태학적 해양환경특성 고찰

- 장/단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해양생태계 안정성 및 건강성 평가

연안환경건강성평가

- 연안을 대상으로 각종 개발압력, 고도화된 어업, 생활수준 선진화에 따른 유어객 증가로 인한 연한환경 현황 및 피해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건강도(ECOQ)를 평가

- 갯벌 및 조간대, 조하대, 기수역, 연안 어장 등의 저서생태계 건강도 조사에는 BPI, BOPA, SEP, AMBI 등의 통계기법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건강도를 평가하고 대책 수립

혜중림(바다숲)조성사업 효과조사

- 과학잠수조사를 통한 해중림 해양생물(부착동물, 해조류, 어류 등) 군집조사 및 해중림 어초시설 등의 정밀조사를 통해 해중림 조성효과 파악

- 해양생태계 전공의 잠수 산업기사 · 기능사 등의 과학잠수 인력과 첨단 잠수촬영장비 및 기술로써 전문화된 모니터링 수행

유해성 녹 · 적조 모니터링 및 억제 · 방제 연구

- 녹 · 적조 원인종 규명

- 녹 · 적조 조기 발견 방안 및 피해 방제 연구기술개발

해양생태계 변화 연구

- 해양의 개발(해양풍력, 골재채취, 발전소, 무역항 등) 및 해양오염(유류, 폐기물 유출, 냉 · 온배수 등)에 의한 해양생태계 현황파악, 영향예측 및 변동양상 평가

-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물리, 화학, 생물학적 인자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한 대응책 및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

해양보호생물(잘피류,흰발농게 등) 모니터링 및 생태계 복원 · 보전방안 연구

- 해양보호생물 정밀조사를 통한 분포현황 모니터링

- 해양의 개발 등으로 인한 영향예측 및 해양보호생물 포획 · 이주대책


그누보드5
[16690]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덕영대로 1556번길 16, 디동 1301호(영통동 영통디지털엠파이어)
TEL. 031-695-3400    FAX. 031-695-3409   
Copyright © landocean.co.kr All rights reserved.